도구

30년쯤 된 맥라이트 LED 개조....(Mgalite 3D + LED + 18650x2)

codubob 2025. 3. 14. 04:38

작업실 오래된 짐들 정리하다 나온 30년쯤 된 맥라이트 3D 구형 손전등 발굴

90년대 후반에 취미삼아 구입했던것으로 기억되는데

내부에 배터리 없이 보관해서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발굴되었지만

비슷한 시기 구입해 똑같이 방치되었던 다른 6D 모델은 내부 배터리가 있었던지라 누액으로 몸통이 터졌네요. (폐기)

요즘 LED 손전등에 비하면 훨씬 어두운 전구 광량, 짧은 배터리 지속력, 대형의 D 배터리의 큰 부피와 무게를 감안하면

이런 구형 제품은 별도로 구입할 의미는 없는 빈티지(고물) 이고

(요즘 나오는 맥라이트 신형 LED 순정 제품들은 크기도 역시 크고 값이 비싸고 성능이야 LED 따라가니 비슷비슷)

어차피 가지고 있으니, 재미삼아 몇가지 업그레이드를 하면 그럭저럭 쓸만한 손전등으로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1. LED 전구로 교체 (알리에서 판매되는 제품)

2. 배터리를 리튬 배터리 사용가능하게 교체 (중고 18650 배터리 2개를 사용가능하게 홀더 제작, 재활용)

알리에서 2가지 종류의 LED를 구입해봤는데 (맨 오른쪽은 기존 순정 전구)

둘 다 가격 1~2$ LED 이지만 하나는 가변전압으로 밝기를 유지하는데 비해 

다른 하나는 그냥 12V 에서만 밝기가 나오고 전압이 낮으면 전압에 비례해서 밝기도 떨어집니다.

맥라이트용 LED 전구라도 내부에 전류 보정을 위한 드라이버가 있는게 있고 없는 깡통이 있는듯 합니다.

기존 전구 모양에 맞춰 만들어지니 LED칩이 작아서 밝기는 많이 떨어집니다.

굴러다니는 18650 배터리 2개를 사용하기 위해 3D 프린터로 배터리 홀더 비스무리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길이하고 굵기만 대충 맞춰서(D셀 x3개 -> 18650 x2개) 양쪽은 볼트를 심어 전류가 통하게 하였습니다.

맥라이트 3D의 거대한 크기

대충 30cm 길이에 지름도 4cm 정도에 무게도 1kg 가까이 됩니다.

16인치 ASP 3단봉-슈어파이어 퓨리(구형)-연필 순서대로 비교

결론은, 구형을 가지고 이런 컨버전을 해 봐야 전구의 기존 크기 자체가 아주 작아서 성능을 높이기는 좀 어려울듯 하고

특히 반사경이 플라스틱이라 고광량 고성능 칩을 쓰면 과열을 막기 힘들듯 보입니다. 

재미삼아 재활용 하는 정도만 ㅎㅎ